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윈도우 키보드 숫자패드 안될 때 해결 방법

by gorra5duck 2025. 9. 20.
반응형

 

노트북이나 데스크톱에서 숫자패드(NumPad)를 자주 사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특히 회계 작업, 엑셀, 데이터 입력에 필수적인데, 갑자기 숫자패드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당히 불편하죠.
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키보드 숫자패드가 안 될 때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.
 


✅ 숫자패드가 안 되는 주요 원인

  • Num Lock 키 꺼짐 – 꺼져 있으면 숫자가 입력되지 않고 방향키처럼 작동(가장 높은 이유)
  • 키보드 설정 문제 – 접근성 옵션(고정 키, 필터 키) 때문에 입력이 막힘
  • 드라이버 오류 – 드라이버 손상 또는 업데이트 누락
  • 하드웨어 문제 – 키보드 자체 불량, USB 인식 오류, 무선 연결 문제

💡 해결 방법 (단계별 가이드)

1) Num Lock 키 확인

  • 키보드의 Num Lock 키를 눌러 켜기
  • 대부분의 키보드에는 Num Lock LED 표시등이 있음
  • 켜진 상태에서 숫자 입력 여부 확인

2) 윈도우 접근성 설정 확인

  • 윈도우 키 + I → 설정 → 접근성
  • ‘키보드’ 메뉴 선택
  • 고정 키, 필터 키 기능이 켜져 있다면 모두 끄기

3) 키보드 드라이버 점검

  • 검색창 → 장치 관리자 실행
  • ‘키보드’ 항목 선택
  • 드라이버 업데이트 → 최신 버전 설치
  • 문제 지속 시 드라이버 제거 후 재부팅 → 자동 재설치

4) 하드웨어 점검

  • USB 키보드: 다른 포트에 연결
  • 무선 키보드: 배터리 교체 및 재연결
  • 노트북 내장 키보드: 외장 키보드 연결 후 입력 테스트

🛠️ 추가 팁

  • 화면 키보드 사용하기: 윈도우 키 + Ctrl + O → 가상 키보드 실행
  • 외장 숫자 키패드 활용: 노트북에서는 별도 USB 숫자 키패드 사용

눌러도 안된다면 저라면 숫자 키보드 사서 씁니다.

 


✅ 마무리

윈도우 키보드 숫자패드 안될 때
대부분 단순한 원인(Num Lock 꺼짐, 접근성 옵션) 때문에 발생합니다.
 
드라이버 문제나 하드웨어 불량일 경우만 추가 점검이 필요하니, 위 단계를 하나씩 적용해 보세요.

반응형